Board 게시판

Notice 공지 Free 자유 Q&A 질문 Academia 학회 Visitor 방명록 Gallery 사진

2017-12-29 국내 PGA 값은?

작성자 : 최기영

(2022-10-05)

조회수 : 1756

교수님 안녕하세요.

현재 국내기준에서 지진 지역계수 0.22g 또는 0.11g를 유효지반가속도라고 명기하여 사용합니다. 또한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기 위해 (ASCE7-10 개념과 비교하자면) S1=0.22g(지역계수), Ss=0.22gx2.5=0.55g 를 사용합니다.

유효지반가속도는 구조물에 최대응답을 일으키는 지반가속도로서 구조물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거꾸로 구합니다. (잘 아시다시피 Newmark 교수는 지지파 성분을 분석하여 5% damping가정 시 지진파가 구조물에 입력되었을 때 응답가속도는 대략 2.71, 속도는 대략 2.3 정도 증폭된다는 것을 논문에서 밝혔습니다.) 이는 유효지반가속도가 최대지반가속도와 비슷한 값을 가지나 건물 설계자 입장과 지질공학자 입장 차이에서 용어를 나누어 사용한 듯한 인상을 받는데요...

UFC 3-301-01(2014)에 보면 Seismic Data에서 PGA, Ss, S1을 규정하면서 PGA가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대략 Ss/2.5 정도 값으로 정의 되어 있습니다. (위 Newmark 교수 연구에 따른 것 같습니다. 최대응답 Ss가 PGA에 의해 증폭된 응답이므로 2.5로 나누어 PGA를 정의?)

그렇다면 국내 PGA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Ss=0.55g/2.5=0.22g를 사용하는 것이 맞을 듯한데 여기저기서 PGA로 0.55g 그대로 사용하는 것 같아서요...^^;) 즉 지역계수 0.22g는 유효지반가속도이자 국내 PGA 개념으로 봐도 되지 않을까요?

유효지반가속도와 지반최대가속도(PGA)를 혼용하여 여기저기서 사용하는데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어렵네요.

만약 제 생각이 틀린 것이라면 국내 내진설계 기준에 따른 PGA 값은 얼마로 봐야할는지요?

의견 부탁드립니다. 감사합니다.